알치데 데 가스페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치데 데 가스페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태어나 이탈리아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이탈리아 인민당 창당과 파시즘 반대 운동을 이끌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탈리아 기독교 민주당을 창당하고, 연합군 해방 후 국가 해방 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 외무 장관을 역임했다. 그는 1945년부터 1953년까지 8개의 연립 정부를 이끌며 총리를 지냈고, 이탈리아 공화국 수립, 평화 조약 체결, NATO 가입, 마셜 플랜을 통한 경제 부흥을 이끌었다. 또한,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창설에 기여하며 유럽 통합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1953년 총리직에서 물러난 후, 1954년 사망했으며, 현재 시복 절차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문헌학자 - 자코모 레오파르디
자코모 레오파르디는 이탈리아의 시인, 철학자, 문헌학자로서 염세주의적이고 허무주의적인 사상을 담은 작품들을 통해 19세기 유럽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 이탈리아의 문헌학자 - 빈센조 보르기니
빈센조 보르기니는 16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사제이자 예술 후원가, 작가, 학자로,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의 후원 아래 피렌체 예술 발전에 기여하고 《데카메론》 수정 작업에 참여했으며, 풍자시 《라 루셀레이데》 등의 저서를 남겼다. - 이탈리아의 반파시즘 - 기독교민주당 (이탈리아)
1943년 이탈리아에서 설립되어 1994년 해산될 때까지 이탈리아 정치를 지배한 기독교민주당은 반공주의와 중도 및 중도좌파 연정을 통해 장기 집권했으나, 탕겐토폴리 스캔들로 몰락하여 해산 후 좌우파는 다른 정당으로 재편되었다. - 이탈리아의 반파시즘 - 민족해방위원회
민족해방위원회는 1943년 이탈리아 휴전과 독일 침공 후 결성된 반파시스트 정당 연합체로, 이탈리아 레지스탕스 운동을 이끌며 파시즘에 맞서 싸우고 민주적인 정부 수립을 목표로 활동했으며, 1944년부터 1946년까지 이탈리아 정부를 이끌었다. -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이탈리아인 - 이탈로 스베보
이탈로 스베보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트리에스테 출신의 이탈리아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은행원으로 일하며 글을 쓰는 생활을 병행했고,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영향을 받은 심리 소설 《제노의 의식》으로 알려져 있으며, 제임스 조이스의 옹호와 루이지 피란델로와의 함께 20세기 초 이탈리아 문학의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이탈리아인 - 앨버트 콘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 배우 앨버트 콘티는 법학과 자연과학을 전공하고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미국으로 이민, 무성 영화와 유성 영화에서 품위 있는 역할을 맡아 활동하다 MGM 의상 부서에서 근무하며 영화계와 인연을 이었다.
알치데 데 가스페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하느님의 종 |
출생 이름 | 알치데 아메데오 프란체스코 데 가스페리 |
출생일 | 1881년 4월 3일 |
사망일 | 1954년 8월 19일 |
출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티롤주, 피에베테시노 |
사망지 | 이탈리아, 트렌티노, 보르고발수간다 |
배우자 | 프란체스카 로마니 (1922년 결혼) |
자녀 | 4명 |
직업 | 언론인 문헌학자 정치인 |
모교 | 인스브루크 대학교 빈 대학교 |
종교 | 가톨릭교회 |
정치 경력 | |
이탈리아 총리 | 재임 시작: 1945년 12월 10일 재임 종료: 1953년 8월 17일 |
국왕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움베르토 2세 |
섭정 | 움베르토 2세 |
대통령 | 엔리코 데 니콜라 루이지 에이나우디 |
부총리 | 루이지 에이나우디 란돌포 파치아르디 주세페 사라가트 아틸리오 피치오니 조반니 포르치오 |
총리 전임 | 페루치오 파리 |
총리 후임 | 주세페 펠라 |
공동 의회 의장 | 재임 시작: 1954년 5월 11일 재임 종료: 1954년 8월 19일 |
의장 전임 | 폴-앙리 스파크 |
의장 후임 | 주세페 펠라 |
장관 경력 | |
외무부 장관 | 재임 시작: 1951년 7월 26일 재임 종료: 1953년 8월 17일 총리: 자신 장관 전임: 카를로 스포르차 장관 후임: 주세페 펠라 |
외무부 장관 | 재임 시작: 1944년 12월 12일 재임 종료: 1946년 10월 18일 총리: 이바노에 보노미 페루치오 파리 자신 장관 전임: 이바노에 보노미 장관 후임: 피에트로 넨니 |
내무부 장관 | 재임 시작: 1946년 7월 14일 재임 종료: 1947년 2월 2일 총리: 자신 장관 전임: 주세페 로미타 장관 후임: 마리오 셸바 |
이탈리아령 아프리카 장관 | 재임 시작: 1945년 12월 10일 재임 종료: 1953년 4월 19일 총리: 자신 장관 전임: 페루치오 파리 장관 후임: 직위 폐지 |
정당 경력 | |
기독교민주당 서기 | 재임 시작: 1953년 9월 20일 재임 종료: 1954년 7월 16일 서기 전임: 귀도 고넬라 서기 후임: 아민토레 판파니 |
기독교민주당 서기 | 재임 시작: 1944년 12월 29일 재임 종료: 1946년 9월 22일 서기 전임: 직위 신설 서기 후임: 아틸리오 피치오니 |
인민당 서기 | 재임 시작: 1924년 5월 20일 재임 종료: 1925년 12월 14일 서기 전임: 조반니 그론치 주세페 스파타로 줄리오 로디노 서기 후임: 안토니오 알베르티 조반니 바티스타 미글리오리 |
의회 경력 | |
하원 의원 | 재임 시작: 1948년 5월 8일 재임 종료: 1954년 1월 19일 선거구: 트렌토-볼차노 |
하원 의원 | 재임 시작: 1921년 6월 11일 재임 종료: 1929년 1월 21일 선거구: 트렌토 |
제헌 의회 의원 | 재임 시작: 1946년 6월 25일 재임 종료: 1948년 1월 31일 선거구: 트렌토-볼차노 |
제국 의회 의원 | 재임 시작: 1911년 7월 재임 종료: 1918년 11월 선거구: 티롤 백국 |
소속 정당 | |
소속 정당 | 트렌티노 인민정치연합 (1906–1920) 이탈리아 인민당 (1920–1926) 기독교민주당 (1943–1954) |
2. 생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트렌토 출신인 알치데 데 가스페리는 빈 대학교를 졸업하고 가톨릭 액션에 참여했다. 제국 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며 트렌토의 이탈리아 귀속을 위해 노력했고, 제1차 세계 대전 후 트렌토가 이탈리아에 편입되자 1919년 이탈리아 인민당 창당에 참여, 1921년 국회의원이 되었다.
무솔리니 집권 후 인민당이 해체되자 1927년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바티칸의 개입으로 석방, 바티칸 도서관에서 근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무솔리니 반대 운동을 펼치며 기독교민주당을 재건, 1943년 정계에 복귀하여 임시정부에서 무임소장관과 외무장관을 역임하고 1945년 총리가 되었다. 1946년 왕정 폐지 후 엔리코 데 니콜라가 선출될 때까지 임시 국가원수를 겸임했다.
사회당, 공산당과 연립 정권을 구성하여 새 헌법을 제정하고 연합국과 조약을 체결했다. 냉전 격화 후 1948년 선거에서 사회당과 공산당을 연정에서 배제하고 미국의 지원을 받았다. 마셜 플랜으로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유고슬라비아와 분쟁 중이던 트리에스테 지역 일부를 되찾았다. 1949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하고, 1951년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창설에 참여했다.
1953년 총선에서 기독교민주당은 최다 의석을 확보했으나, 데 가스페리는 총리직을 사임했다. 1954년 유럽 의회 의장을 맡다가 같은 해 8월 19일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정치 입문
알치데 데 가스페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트렌토에서 태어났다.[2] 빈 대학교를 졸업하고, 가톨릭 액션에 참여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어 트렌토 지방의 이탈리아 귀속을 위해 노력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트렌토 지방이 이탈리아로 편입되자, 1919년 이탈리아 인민당 창당에 참여했고, 1921년 이탈리아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다.[3]2. 2. 파시즘 반대 운동과 투옥
1919년, 데 가스페리는 루이지 스투르조와 함께 이탈리아 인민당(PPI) 창당에 참여했다. 1921년부터 1924년까지 파시즘이 부상하던 시기에 이탈리아 의회 의원을 지냈다. 그는 처음에 1922년 10월 베니토 무솔리니의 첫 번째 정부에 인민당이 참여하는 것을 지지했다.무솔리니의 이탈리아 정부 장악력이 강해짐에 따라, 그는 행정부의 권한과 선거 제도(아체르보 법)에 대한 헌법 개정, 그리고 헌법 정당에 대한 파시스트의 폭력(자코모 마테오티 살해 사건으로 절정에 달함)에 대해 파시스트들과 곧 견해를 달리하게 되었다. 인민당은 분열되었고, 데 가스페리는 1924년 5월 잔류 반파시스트 그룹의 대표가 되었다. 1926년 11월, 파시스트들의 공공연한 폭력과 협박 분위기 속에서 인민당은 해산되었다.
데 가스페리는 1927년 3월 체포되어 4년형을 선고받았다. 교황청이 그의 석방을 협상했다.[4] 1년 반의 수감 생활은 데 가스페리의 건강을 거의 망가뜨렸다. 1928년 7월 석방된 후 그는 실직 상태였고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에 처했는데, 1929년 교회 관계자들과의 접촉을 통해 바티칸 도서관의 목록 작성원으로 일자리를 얻을 수 있었고, 1943년 7월 파시즘이 붕괴될 때까지 14년 동안 그곳에서 근무했다.
2. 3. 기독교민주당 창당과 전후 정치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중 데 가스페리는 무솔리니에 반대하는 운동을 계속했으며, 이탈리아 인민당의 이념을 계승한 기독교민주당 창당을 주도했다. 1943년 기독교민주당이 합법화되자 정계에 복귀, 이바노에 보노미가 이끄는 임시정부에서 무임소장관을, 페루초 파리 내각에서는 외무장관을 역임했다.[1] 1944년 기독교민주당의 초대 사무총장이 되었다.[1]1945년 데 가스페리는 총리로 선출되었으며, 1946년 왕정 폐지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움베르토 2세가 폐위되고 왕정이 폐지되자, 엔리코 데 니콜라가 새 국가 원수로 선출될 때까지 잠시 국가원수 권한대행을 맡았다.[1]
데 가스페리는 기독교민주당 내에서 확고한 지도력을 행사했지만, 바티칸과의 관계, 사회 개혁, 외교 정책 등과 관련하여 당내 다양한 세력과 이해관계의 균형을 맞추어야 했다.[1]
2. 4. 이탈리아 총리 재임 (1945-1953)
트렌토 출신의 알치데 데 가스페리는 1945년 12월부터 1953년 8월까지 기독교민주당을 중심으로 8번 연속 총리직을 맡았다.[32] 7년 8개월이라는 그의 재임 기간은 전후 이탈리아에서 가장 긴 연속 집권 기록이다. 데 가스페리 총리 재임 중 이탈리아는 공화국이 되었고(1946년), 연합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했으며(1947년), 1949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하여 미국의 동맹국이 되었다. 마셜 플랜을 통해 이탈리아 경제 부흥에 기여했고,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에 가입하여 훗날 유럽 연합(EU)으로 발전하는 기틀을 마련했다.[32]2. 4. 1. 내정
데 가스페리는 1945년부터 1953년까지 기독교민주당(DC) 주도의 8개 연립 정부 총리를 역임하며 전후 이탈리아를 이끌었다.[5][6]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이탈리아는 공화국으로 전환(1946)되었고, 연합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1947)[34] 또한, 1949년 NATO에 가입하여 미국의 동맹국이 되었으며, 마셜 플랜을 통해 경제 부흥을 이루었다. 이탈리아는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에도 가입했는데, 이는 훗날 유럽 연합(EU)으로 발전했다.[5][6]1945년 12월, 데 가스페리는 페루치오 파리의 뒤를 이어 총리가 되었고, 이탈리아 공산당(PCI), 이탈리아 사회당(PSI) 등을 포함한 연립 정부를 이끌었다. 팔미로 톨리아티 공산당 지도자는 부총리를 맡았다. 데 가스페리는 연합국과의 평화 조약 조건을 완화하고, 마셜 플랜을 통한 경제 지원을 확보하고자 노력했다.[32]
1946년 6월, 국민투표에서 54%가 공화국을 선택했다. 데 가스페리는 임시 국가 원수를 맡았다가, 제헌 의회가 엔리코 데 니콜라를 임시 국가 원수로 선출하면서 물러났다.[34]
제2차 세계 대전 파리 평화 회의에서 데 가스페리는 이탈리아의 주권을 옹호하며 제재에 맞섰다. 1947년 이탈리아 평화 조약으로 동부 국경 지역은 유고슬라비아에 넘어갔고, 트리에스테는 분할되었다.
데 가스페리는 미국에서 공산주의에 맞설 인물로 여겨져 큰 지지를 받았다.[35] 1947년 미국 방문에서 그는 경제 지원을 얻어냈고, 이는 이탈리아 내 그의 입지를 강화했다. 그는 미국 외교 정책 변화에 대한 정보를 얻고, 1947년 5월 위기를 통해 공산당과 좌익 사회당을 정부에서 퇴출시켰다.[8]

1948년 총선은 냉전의 영향으로 소비에트 연방과 미국의 대립이 심화된 가운데 치러졌다. 미국은 좌파 연합의 승리와 이탈리아 공산당의 집권을 우려하여 이탈리아계 미국인들을 동원하고, 중앙정보국(CIA)을 통해 반공 후보를 지원했다. 조지프 P. 케네디와 클레어 부스 루스는 기독교민주당에 200만달러를 지원했다.[9] ''타임''지는 데 가스페리를 표지에 싣는 등 선거 운동을 지지했다.[10]
선거 운동은 이탈리아 사회의 미래를 둘러싼 대결이었다. 기독교민주당은 가톨릭적이고 보수적인 이탈리아를, 민주전선은 세속적이고 사회주의적인 사회를 내세웠다. 기독교민주당은 공산주의의 위험성을 강조하며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자녀가 부모를 감옥에 보낸다"는 등의 주장을 펼쳤다.[12][13]
기독교민주당은 48.5%의 득표율로 압승했고, 데 가스페리는 자유당, 공화당, 사회민주당과 함께 중도주의 연정을 구성했다. 이후 그는 5년 더 집권하며 여러 차례 내각을 구성했다.[16]
데 가스페리 내각은 사회 보장 개혁에도 힘썼다. 임대료 및 사회 주택, 실업 보험, 연금 분야에서 여러 개혁이 이루어졌다.
1952년, 데 가스페리는 당내 지지를 받았으나, 신흥 좌파의 비판에 직면했다. 그들은 그가 사회 경제 개혁에 소극적이고, 토론을 억압하며, 당을 정부에 종속시킨다고 비판했다.
2. 4. 2. 외교
데 가스페리는 1947년 연합국과의 평화 조약을 체결하여 이탈리아의 주권을 회복하고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 복귀하는 데 기여했다.[5][6] 조약에 따라 동부 국경 지역은 유고슬라비아에 할양되었고, 트리에스테는 자유 지역으로 분할되었다.[34]1946년 9월에는 오스트리아와 그루버-데 가스페리 협정을 체결하여 그의 고향인 남티롤 지역을 자치 지역으로 만들었다.[35]
데 가스페리는 냉전 시대에 친서방 외교 정책을 추진했다. 1949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하여 미국의 동맹국이 되었고,[32] 마셜 플랜을 통해 이탈리아 경제 재건에 필요한 지원을 받았다. 또한,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 창설에 참여하여 유럽 통합의 초석을 다졌다.[32]
그는 미국과의 관계를 중시하여 1947년 미국을 방문, Eximbank로부터 1억 달러의 차관을 얻어냈다. 이는 이탈리아 경제 회복에 기여했을 뿐 아니라, 국내 정치적으로도 데 가스페리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35]
데 가스페리는 이탈리아 공산당(PCI)의 세력 확장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했다. 1947년 5월,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의 압력으로 공산당과 이탈리아 사회당(PSI)을 연정에서 제외하고, 주세페 사라가트의 이탈리아 민주사회당(PSDI), 루이지 에이나우디의 PLI, 란돌포 파치아르디의 PRI 등 중도 정당들과 새로운 내각을 구성했다.[33]
1948년 총선에서는 미국의 지원을 받아 기독교민주당(DC)이 압승을 거두었고, 데 가스페리는 이후 5년간 총리로 재임하며 이탈리아의 안정과 발전을 이끌었다.[40]
2. 5. 총리 퇴임 이후와 사망
1953년 총선에서 기독교민주당은 최다 의석을 확보했지만, 데 가스페리는 총리직에서 물러나야 했다.[19] 이 선거는 개정된 선거법으로 인해 여야 모두에게 "사기법"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개정된 선거법은 절대 다수 득표 연합에게 하원 의석 3분의 2를 할당하는 초과 보너스 조항을 포함하고 있었다.[18]바티칸의 적극적인 지지에도 불구하고, 여당 연합은 전국 투표에서 49.9%를 얻어 초과 다수 획득에 실패했다. 의석은 비례 대표 방식으로 배분되었고, 기독교민주당은 우익에 많은 표를 잃었다.
양원에서 실질적인 다수 의석을 확보했음에도, 초과 다수 획득 실패에 대한 불만으로 데 가스페리는 1953년 8월 2일 의회에 의해 사임, 은퇴 후 12개월 뒤 사망했다.[19]
1954년 데 가스페리는 유럽 의회 의장을 맡았으나, 같은 해 6월 아민토레 판파니에게 기독교민주당 당수직을 넘겨야 했다.[20][21] 1954년 8월 19일, 데 가스페리는 발수가나 셀라에서 사망하여 산 로렌초 푸오리 레 무라 대성당에 안장되었다.[22] 그의 시복 절차는 1993년 시작되었다.[22]
전 비서이자 전 총리인 줄리오 안드레오티는 데 가스페리가 타협과 중재를 가르쳤다고 회고했다.[23]
데 가스페리는 유럽 연합의 건국 아버지 중 한 명으로, 유럽 통합 초창기부터 로베르 쉬망, 콘라트 아데나워와 정기적으로 만났다.[24] 그는 유럽 평의회 조직과 슈만 선언을 지지했으며, 1954년 유럽 의회의 전신인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공동 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또한 유럽 방위 공동체 구상 발전에도 기여했다.[25] 1952년 카를스프라이스(아헨 국제 샤를마뉴상)를 수상했다.
3. 정치적 유산과 평가
데 가스페리는 로베르 슈만, 콘라트 아데나워와 함께 유럽 통합의 초석을 다진 인물이다. 그는 유럽 평의회 결성에 기여했고,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 설립의 바탕이 된 슈만 선언을 지지했다.[24] 1954년, 데 가스페리는 ECSC 공동 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유럽 방위 정책 구상에도 힘을 보탰다.[25]
1952년 데 가스페리는 독일 아헨시에서 수여하는 카롤루스 대제상을 받았으며, 유럽 연합의 건국 아버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45]
3. 1. 민주주의와 법치주의 확립
1919년, 데 가스페리는 루이지 스투르조와 함께 이탈리아 인민당 창당에 참여했다. 데 가스페리는 1921년부터 1924년까지, 파시즘이 부상하던 시기에 이탈리아 의회 의원이었다. 초기에 데 가스페리는 1922년 10월 베니토 무솔리니 정권 출범 당시 인민당의 정권 참여를 지지했다.무솔리니 체제가 강화됨에 따라, 데 가스페리는 행정권과 아체르보 법에 의한 선거 제도 등 헌법 관련 변경을 둘러싸고 파시스트들과 갈등을 빚었다. 파시스트들이 합법적인 정당을 박해하여 자코모 마테오티 암살 사건에 이르자 데 가스페리는 파시스트와 결별하게 된다. 그 결과 인민당은 분열되었고, 1924년 5월 데 가스페리는 반파시스트파의 대표가 된다. 1926년 11월, 파시스트들의 노골적인 폭력과 협박이 정점에 달하자 인민당은 해산 명령을 받았다.
1927년 3월, 데 가스페리는 체포되어 4년의 옥고를 치르게 되었다. 이때 교황청은 데 가스페리의 석방을 요청했다. 투옥 후 1년 반 동안 데 가스페리는 건강을 해쳤다. 1928년 7월 석방되었지만, 직업을 가질 수 없어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했으나, 1929년에는 교회와의 관계를 통해 바티칸 도서관에서 목록 제작원 직책을 얻게 되어, 이후 1943년 7월 파시즘 체제 붕괴까지 14년간 바티칸 도서관에서 일했다.
3. 2. 유럽 통합의 선구자
유럽 통합의 초창기부터 데 가스페리는 로베르 슈만, 콘라트 아데나워와 정기적으로 만났다.[24] 그는 유럽 평의회를 조직하는 데 기여했고, 1951년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의 설립으로 이어진 슈만 선언을 지지했다. ECSC는 유럽 통합 과정의 선구자였다. 1954년 그는 유럽 의회의 전신인 공동체의 공동 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결국 현재의 유럽 연합 프로젝트로 변모했지만, 데 가스페리는 공동 유럽 방위 정책이라는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데 기여했다.[25] 1952년 그는 독일의 아헨시가 유럽의 이상과 평화에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하는 카롤루스 대제상을 수상했다. 그는 유럽 연합의 건국 아버지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45]4. 한국과의 관계
데 가스페리 총리 재임 기간 중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했다. 이탈리아는 UN의 회원국은 아니었지만, 1951년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볼로냐에 이탈리아 적십자 제68야전병원을 설치하여 한국을 지원하였다.[32] 이 병원은 1955년 1월까지 운영되었다.[32]
참조
[1]
웹사이트
Alcide De Gasperi (Italian statesman)
http://www.britannic[...]
[2]
웹사이트
Alcide De Gasperi. Democracy beyond Borders
https://www.europarl[...]
European Parliament
2022-01-20
[3]
웹사이트
De Gasperi al bivio tra Vienna e Roma
http://www.corriere.[...]
2021-01-17
[4]
서적
A History of Contemporary Italy: Society and Politics, 1943–1988
Palgrave Macmillan
2003
[5]
웹사이트
Monarchici e massoni per la svolta del 18 aprile 1948. Chi fu il vero motore e il beneficiario di quelle elezioni, decisive per l'Italia di ieri, oggi e domani?
https://www.pensalib[...]
2024-10-22
[6]
웹사이트
Il "potere" della Massoneria da Mazzini e Cavour ai nostri giorni
Chiarelettere
2021
[7]
간행물
De Gasperi through American Eyes: Media and Public Opinion, 1945–53
https://wayback.arch[...]
2005
[8]
논문
The Italian Stabilization of 1947: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http://repositories.[...]
Institute of European Studies
2007
[9]
웹사이트
The Cold War Begins
http://www.fsmitha.c[...]
[10]
뉴스
How to Hang On
http://jcgi.pathfind[...]
Time
1948-04-19
[11]
뉴스
Man from the Mountains
http://jcgi.pathfind[...]
Time
1953-05-25
[12]
뉴스
Show of Force
http://jcgi.pathfind[...]
Time
1948-04-12
[13]
뉴스
How to Hang On
http://jcgi.pathfind[...]
Time
1948-04-19
[14]
뉴스
Fertility vote galvanises Vatican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6-13
[15]
웹사이트
Number of MPs for each political group during the First Legislature
http://legislature.c[...]
[16]
뉴스
De Gasperi through American Eyes: Media and Public Opinion, 1945–53
https://wayback.arch[...]
New York Times
1949-02-16
[17]
서적
Growth to Limits: The Western European Welfare States Since World War II Volume 4
[18]
저널
Come il Senato si scoprì vaso di coccio
https://www.questia.[...]
2014
[19]
저널
Come il Senato si scoprì vaso di coccio
https://web.archive.[...]
2014
[20]
뉴스
Cabinet Maker
https://archive.toda[...]
Time
1953-07-27
[21]
뉴스
De Gasperi's Fall
https://web.archive.[...]
Time
1953-08-10
[22]
웹사이트
Servo di Dio Alcide De Gasperi
http://www.santiebea[...]
[23]
뉴스
All the prime minister's men
http://findarticles.[...]
The Independent
1995-09-24
[24]
웹사이트
Alcide De Gasperi's humanist and European message
http://www.epp-ed.eu[...]
European People's Party
[25]
뉴스
In the beginning was De Gasperi
http://www.thefloren[...]
The Florentine
2007-10-04
[26]
뉴스
Why Italy never exorcised its fascist past
The Sunday Times
2014-06-22
[27]
서적
Italy Reborn; from Fascism to Democracy
Allen Lane/Penguin Books
[28]
저널
Literary Review
2024-06
[29]
웹사이트
Se ne va a più di cent' anni la moglie di Alcide de Gasperi – la Repubblica.it
http://ricerca.repub[...]
1998-08-21
[30]
웹사이트
Famiglia Cristiana n.18 del 7-5-2000 – De Gasperi, mio padre
http://www.stpauls.i[...]
[31]
웹사이트
Francesca Romani
https://www.geni.com[...]
1894-08-30
[32]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2001-11-26
[33]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34]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35]
간행물
De Gasperi through American Eyes: Media and Public Opinion, 1945-53
http://www.arts.mun.[...]
Conference Group on Italian Politics and Society
2009-02-14
[36]
웹사이트
Show of Force
http://www.time.com/[...]
Time
1948-04-12
[37]
웹사이트
How to Hang On
http://www.time.com/[...]
Time
1948-04-19
[38]
웹사이트
The Cold War Begins
http://www.fsmitha.c[...]
[39]
웹사이트
Man from the Mountains
http://www.time.com/[...]
Time
1953-05-25
[40]
웹사이트
De Gasperi through American Eyes: Media and Public Opinion, 1945-53
http://www.arts.mun.[...]
Conference Group on Italian Politics and Society
[41]
웹사이트
Cabinet Maker
http://www.time.com/[...]
Time
1953-06-27
[42]
웹사이트
De Gasperi's Fall
http://www.time.com/[...]
Time
1953-08-10
[43]
웹사이트
Servo di Dio Alcide De Gasperi
http://www.santiebea[...]
Santi beati
2005-06-03
[44]
웹사이트
All the Prime Minister's Men
http://www.bunker8.p[...]
The Independent
1995-09-24
[45]
웹사이트
Alcide De Gasperi's humanist and European message
http://www.epp-ed.eu[...]
European People's Party - European Democrats
[46]
웹사이트
In the beginning was De Gasperi
http://www.thefloren[...]
Florentine
2007-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